PROJECT


프로젝트


신나라마당의 프로젝트는 정책마당에서 담쟁이들의 토론과 제안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스마트팜-학급 연계 [우리반 텃밭] 사업

담당자
2019-03-08
조회수 556

‘스마트팜-학급’ 연계 [우리반 텃밭] 사업 아이디어

I. 현황

1. 농경지 및 농업 종사자 수 감소

국내 농경지는 2000년 국토의 19.0%에서 2013년 17.1%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농림어업 종사자 비중도 전체 취업자의 10.6%에서 5.7%로 급격하게 줄고 있습니다. 이 같은 추세는 4차 산업혁명이 대두됨에 따라 더욱더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2. 도농 격차 심화

도농간의 격차 문제는 이전부터 지적되어온 문제입니다. 재작년 도시근로자 가구소득은 5,780만 원으로 10년전(2006년 4,133만 원)보다 39.8%, 1,647만 원이 증가한 반면 전국 평균 농가소득은 같은 기간 3,230만 원에서 3,722만 원으로 15.2%, 490만 원 증가하는데 그쳤습니다.

 

또한 최근 열풍이 불었던 AR모바일 게임, [포켓몬고]에서 일종의 보급 거점으로 활용되는 ‘포켓스톱’ 또한 서울 등의 대도시에는 빽빽하게 들어선 반면 도시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찾아보기가 급격히 어려워 집니다. 이는 ‘포켓스톱’이 편의점, 대학, 관공서, 백화점 등에 만들어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농촌의 생활환경이 도시에 비해 열악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3. 4차 산업혁명 대두

ICT, IoT 기술의 발달로 4차 산업혁명이 서서히 현실로 다가오고 있으며 이 영향은 농업에도 미치고 있습니다. 스마트팜이란 IoT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지능화된 농장을 말합니다. 스마트팜은 농작물 재배 시설의 온도∙습도∙햇볕량∙이산화탄소 등을 측정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서 제어장치를 구동하는 방식입니다.

 

이미 스마트팜은 국내에 도입되었고 점차 그 수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기존의 재래식 농업과 비교했을 때 스마트팜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원격관리가 가능하며, 농업의 생산∙유통∙소비과정에 걸쳐 생산성과 효율성 및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II. 사업 아이디어

1. [우리반 텃밭] 이란?

[우리반 텃밭]이란 도시 지역 중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한 학급이 하나의 스마트팜을 맡아서 농작물의 재배와 관리에 참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스마트팜의 특성상 원격에서 모바일 기기를 통해 관리를 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것을 해당 스마트팜과 결연을 맺은 학급의 학생들에게 관리하게 하자는 것이 핵심입니다.

 

예컨대, 토마토의 수분 부족을 스마트팜의 습도 센서가 감지를 하면, 이것이 교실의 알림판에 나타나고, 학생들이 직접 교실에서 물 분사장치를 제어, 토마토에 물을 주는 식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농업에 있어서 아마추어인 중학생들에게 농산물 관리를 전부 위임하는 것은 아니며, 농업인이 미리 설정해둔 틀 안에서 학생들에게 권한이 주어집니다. 위에서 들었던 토마토에 물을 주는 예를 가져오자면, 학생들은 물을 줄 수 있지만 어느 정도의 물을 주어야 적절한지에 대한 지식이 없기 때문에 분사되는 물의 양은 농업인이 미리 결정해서 스마트팜에 설정해 두는 방식입니다. 또한 스마트팜 자체의 유지∙관리도 필요한데, 이 부분을 농업인이 책임지게 됩니다.

 

지속적으로 관리해오던 스마트팜을 직접 찾아가서 실제로 농작물을 보고 만지는 것 또한 중요한 교육의 일부입니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를 활용, 자유학기제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 농촌 체험학습의 일환으로 자신들이 관리하는 스마트팜을 방문하여 농업을 체험하는 기회를 갖게 합니다.

 

이런 식으로 생산된 농작물은 해당 학교에 판매, 급식∙부식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해당 프로그램이 종료됩니다.

 

2. 장점과 기대효과

1) 세계적인 수준의 정보 통신망을 통한 실현 가능성

스마트팜은 이미 우리나라에 도입되었으며 매년 그 규모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도시와 농촌을 잇는 초고속 인터넷망이 이미 전국적으로 보급되어 있습니다. 즉, 적절한 노력과 자본만 투입된다면 충분히 실현 가능한 사업이라고 생각됩니다.

 

2) 농민들에게 안정적인 판로 제공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사업을 통해서 생산된 농작물은 모두 해당 학교에 판매를 하게 됩니다. 따라서 농민에게 있어서 안정적인 판로가 생기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학생들에게 농업 체험의 기회 제공

농업을 책이나 TV를 통해서만 접하고 실제로 체험해 보지 못한 요즘 도시 학생들에게 신선한 경험과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자유학기제에 시행하는 ‘진로교육’의 일환으로서 학생들에게 살아있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4) 스마트팜의 보급 촉진

[우리반 텃밭] 사업이 시행되면 스마트팜 보급의 기폭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미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조금씩 그 규모가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스마트팜은 기존의 재래식 농업에 비하면 소수입니다. [우리반 텃밭] 사업이 시행되고 이 사업의 수익성이 검증되면 이는 농민들에게 스마트팜을 도입할 동기가 될 것입니다. 다가올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비로서 농업의 경쟁력을 스마트팜을 통해 제고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농촌경제에 기여할 것입니다.

 

 

3. 약점 및 예상되는 문제점

1) 학생들의 지식 부족

학생들에게는 농업 지식이 없기 때문에 농작물을 제대로 키우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실제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농민의 보조가 필요하며, 학생들이 스마트팜에 대해서 가지는 통제권에 제한을 둘 필요가 있습니다.

 

2) 초기투자비용 발생

정보통신망 등의 인프라가 갖추어 졌다고 해도 스마트팜과 교실을 연결하는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3) 수익성

아무리 좋은 취지와 기대효과를 가진 사업이라고 해도 당장의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농민들의 참여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정부에서 시행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정부가 ‘농작물 재해보험’과 유사한 방식으로 최저 수익을 보장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문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49538&cid=42346&categoryId=42346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09735&cid=58413&categoryId=58413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2/02/0200000000AKR20170202071800017.HTML?input=1195m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03845

http://www.hyunchuk.co.kr/news/8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