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프로젝트
신나라마당의 프로젝트는 정책마당에서 담쟁이들의 토론과 제안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새만금은 어떻게 활용되어야 하는가?
새만금 방조제, 34km에 이르는 세계적인 방조제가 연결된 지 10여년이 흘렀지만, 아직 매립공사는 끝나지 않고 미완의 계획으로 남아 있습니다. 현재 진척도는 27%!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그려나갈 동북아의 관문이 될 새만금의 미래는 어떻게 되겠습니까?
매립지 개발도, 완성 이후 활용 계획도 정권이 바뀔 때 마다 오리무중이 되는 새만금 국토개발 사업. 이제는 또다시 애물단지가 되도록 두어서는 안됩니다.
2030년 우리의 미래에 새만금이 우리의 희망이 되기 위해서, 어떻게 개발되고 활용되어야 하는지, 친환경적이며 과학적인 플랜이 원점에서부터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신나라마당은 정유년 새해 벽두에,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꿀 새만금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과 의지, 혹은 정책 제언을 원합니다.
<사진 출처 = 김제시>
관련기사 YTN 2017-01-01
선거 때만 '반짝'... 새만금은 30년째 공사중
http://www.ytn.co.kr/_ln/0115_201701010125556210
새만금 방조제, 34km에 이르는 세계적인 방조제가 연결된 지 10여년이 흘렀지만, 아직 매립공사는 끝나지 않고 미완의 계획으로 남아 있습니다. 현재 진척도는 27%!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그려나갈 동북아의 관문이 될 새만금의 미래는 어떻게 되겠습니까?
매립지 개발도, 완성 이후 활용 계획도 정권이 바뀔 때 마다 오리무중이 되는 새만금 국토개발 사업. 이제는 또다시 애물단지가 되도록 두어서는 안됩니다.
2030년 우리의 미래에 새만금이 우리의 희망이 되기 위해서, 어떻게 개발되고 활용되어야 하는지, 친환경적이며 과학적인 플랜이 원점에서부터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신나라마당은 정유년 새해 벽두에,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꿀 새만금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과 의지, 혹은 정책 제언을 원합니다.
<사진 출처 = 김제시>
관련기사 YTN 2017-01-01
선거 때만 '반짝'... 새만금은 30년째 공사중
http://www.ytn.co.kr/_ln/0115_201701010125556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