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 일자리는 수도권에, 강남에.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지역의 일자리 질과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 보고서를 발표했다. 2015년 기준 전국 17개 시도 중 서울과 대전이 일자리 질 지수 상위지역에 뽑혔고, 전남, 경북, 전북은 하위지역으로 뽑혔다. 즉, 좋은 일자리는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서울에서도 강남과 강북의 일자리 질 양극화 현상이 뚜렷했다.
이 보고서는 통계청의 2010년과 2015년 인구통계등록부와 인구주택총조사를 활용해 지역별로 좋은 일자리를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지역 일자리 질 지수’를 개발했다. 이 지수는 지자체별 전체 취업자 중 고소득자(소득 4분위), 고학력자(전문대졸 이상), 고숙련자(전문가·관리자) 비중을 분석한 것이다.
고소득 계층의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39.85)이며, 서울(28.8%), 충남(27.4%), 경기(26.1%)가 뒤를 이었다. 제주(14.4%), 세종(18.1%), 전북(18.2%)은 고소득 계층의 비중이 적었다.
고학력 계층의 비중은 서울(55.1%), 대전(53.7%), 세종(53.3%) 순이었으며, 전남(25.9%), 전북(32.5%), 경북(33.0%)은 고학력 비중이 적었다. 고숙련 계층 비중도 서울(30.5%), 대전(27.8%)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전남(11.%), 경북(12.0%)은 낮았다.
이를 토대로 252개 시군구별로 일자리 지수를 분석해보니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의 군 지역으로 계층화되는 경향이 뚜렷했다. 상위지역은 39개로 분류됐는데, 이중 32개(82%)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다. 특히 서울은 19개 구가 포함됐다.
중상위지역(93개)은 경기도의 주요도시, 비수도권의 산업도시 및 거점도시, 광역대도시의 구 지역들이었다. 중하위지역(66개)은 비수도권 도지역의 시나 중규모 군, 광역시의 구 일부였다. 하위지역(54개)은 대부분 비수도권 도지역의 소규모 군이었다.
7개 광역대도시 내의 일자리 질 격차를 분석해보니 2010년에 비해 2015년에 불평등 정도는 완화됐다. 같은 도시 내에서 일자리 질의 불평등 정도가 가장 높은 도시는 대전이었고, 울산은 도시 내부에서 불평등 정도가 낮았다.
■ 고루 좋은 일자리가 좋은 나라를.
특히 좋은 일자리가 집중된 서울 내에서도 일자리 질의 모든 측면에서 강남과 강북의 양극화가 뚜렷했다. 서울시 423개 동 지역은 소득-학력-직업-일자리 질 모든 변수에서 강북과 강남지역으로 양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핫스팟 지역(지수·지표 상위계층 밀집지역)은 강남의 강남구, 송파구, 서초구, 동작구, 용산구, 영등포구 여의도동 까지를 포함한 구역이었다. 콜드스팟(지수·지표 하위계층 밀집지역)은 강북의 도봉구, 강북구, 노원구, 성북구, 동대문구, 중랑구, 은평구 북부, 강서구 서부, 구로구와 금천구의 외곽 경계지역들이었다.
이 보고서는 통계적으로도 수도권 중심으로 좋은 일자리가 분포되어 있고, 양, 질적으로도 일자리가 수도권에 밀집 되어 있음을 확인해 준다.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 나아가 나라의 고른 발전을 위해서는 지방에 좋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며 중소기업에 대한 꾸준한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더불어 대기업이 지방에 있을 경우 혜택을 주는 등의 여러 방안도 생각해보아야 한다.
■ 좋은 일자리는 수도권에, 강남에.
한국고용정보원이 최근 ‘지역의 일자리 질과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 보고서를 발표했다. 2015년 기준 전국 17개 시도 중 서울과 대전이 일자리 질 지수 상위지역에 뽑혔고, 전남, 경북, 전북은 하위지역으로 뽑혔다. 즉, 좋은 일자리는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서울에서도 강남과 강북의 일자리 질 양극화 현상이 뚜렷했다.
이 보고서는 통계청의 2010년과 2015년 인구통계등록부와 인구주택총조사를 활용해 지역별로 좋은 일자리를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지역 일자리 질 지수’를 개발했다. 이 지수는 지자체별 전체 취업자 중 고소득자(소득 4분위), 고학력자(전문대졸 이상), 고숙련자(전문가·관리자) 비중을 분석한 것이다.
고소득 계층의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39.85)이며, 서울(28.8%), 충남(27.4%), 경기(26.1%)가 뒤를 이었다. 제주(14.4%), 세종(18.1%), 전북(18.2%)은 고소득 계층의 비중이 적었다.
고학력 계층의 비중은 서울(55.1%), 대전(53.7%), 세종(53.3%) 순이었으며, 전남(25.9%), 전북(32.5%), 경북(33.0%)은 고학력 비중이 적었다. 고숙련 계층 비중도 서울(30.5%), 대전(27.8%)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전남(11.%), 경북(12.0%)은 낮았다.
이를 토대로 252개 시군구별로 일자리 지수를 분석해보니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의 군 지역으로 계층화되는 경향이 뚜렷했다. 상위지역은 39개로 분류됐는데, 이중 32개(82%)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다. 특히 서울은 19개 구가 포함됐다.
중상위지역(93개)은 경기도의 주요도시, 비수도권의 산업도시 및 거점도시, 광역대도시의 구 지역들이었다. 중하위지역(66개)은 비수도권 도지역의 시나 중규모 군, 광역시의 구 일부였다. 하위지역(54개)은 대부분 비수도권 도지역의 소규모 군이었다.
7개 광역대도시 내의 일자리 질 격차를 분석해보니 2010년에 비해 2015년에 불평등 정도는 완화됐다. 같은 도시 내에서 일자리 질의 불평등 정도가 가장 높은 도시는 대전이었고, 울산은 도시 내부에서 불평등 정도가 낮았다.
■ 고루 좋은 일자리가 좋은 나라를.
특히 좋은 일자리가 집중된 서울 내에서도 일자리 질의 모든 측면에서 강남과 강북의 양극화가 뚜렷했다. 서울시 423개 동 지역은 소득-학력-직업-일자리 질 모든 변수에서 강북과 강남지역으로 양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핫스팟 지역(지수·지표 상위계층 밀집지역)은 강남의 강남구, 송파구, 서초구, 동작구, 용산구, 영등포구 여의도동 까지를 포함한 구역이었다. 콜드스팟(지수·지표 하위계층 밀집지역)은 강북의 도봉구, 강북구, 노원구, 성북구, 동대문구, 중랑구, 은평구 북부, 강서구 서부, 구로구와 금천구의 외곽 경계지역들이었다.
이 보고서는 통계적으로도 수도권 중심으로 좋은 일자리가 분포되어 있고, 양, 질적으로도 일자리가 수도권에 밀집 되어 있음을 확인해 준다.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 나아가 나라의 고른 발전을 위해서는 지방에 좋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며 중소기업에 대한 꾸준한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더불어 대기업이 지방에 있을 경우 혜택을 주는 등의 여러 방안도 생각해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