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입니다~!!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17 - Goal 17. 목표에 대한 단결력

17. 목표에 대한 단결력

지속가능한 개발을 목표로 실시수단을 강화하고 글로벌 파트너십을 활성화한다.

 

■대상

자금

17.1 과세 및 징수능력 향상을 위한 국제적인 지원 등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국내 자원의 동원을 강화한다.

17.2 선진국은, 많은 국가가 달성하기 위해 노력(commit)하고 있는 ODA/GNI 비율0.7%를 개발도상국에, 그중0.15~0.20%를 후발개발도상국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ODA참여(Commitment)를 완전실시 한다. ODA공급국이, 적어도ODA/GNI비율0.20%를 후발개발도상국에 제공한다라는 목표 설정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장려한다.

17.3 복수의 재원으로부터, 개발도상국을 위한 추가적자금원을 동원한다.

17.4 필요에 따른 부채에 의한 자금 조달, 채무구제 및 채무재편 촉진을 목적으로한 협조적인 정책으로 개발도상국의 장기적인 채무의 지속가능성의 실현을 지원하고 중채무빈곤국 (HIPC)의 대외채무로의 지원에 의해 채무 위험을 경감한다.

17.5 후발개발도상국을 위한 투자촉진조약을 도입 및 실시한다.

 

기술

17.6 과학, 기술 및 혁신에 관한 북남협력, 남남협력 및 지역적·국제적인 삼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이들에 대한 액세스를 향상한다. 또한 유엔수준을 비롯한 기존의 메커니즘간의 조정 개선 및 글로벌한 기술촉진 메커니즘 등을 통해 상호 합의 된 조건에서 지식공유를 추진한다.

17.7 개발도상국에 대해 양허적•특혜적조건 등 상호 합의했던 유리한 조건하에, 환경친화적인 기술개발, 이전, 보급 및 확산을 촉진한다.

17.8 2017년까지, 후발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술은행 및 과학•기술•혁신(STI) 조직적능력향상•매커니즘을 완전히 운용시켜 정보통신기술(ICT)을 비롯한 실현기술의 이용을 강화한다.

 

조직적능력향상(capacity building)

17.9 북남협력, 남남협력 및 삼각력 등을 통해 개발도상국에서 효과적이고 범위를 좁힌 조직적능력향상의 실시에 대한 국제적 지원을 강화하고 모든 지속가능한 개발목표를 실시하기 위한 국가 계획을 지원한다.

 

무역

17.10 도하개발의제의 협상완료 등에 따라 WTO에서의 보편이고 규칙에 근거한 차별적이 아닌 평등한 다각적무역시스템을 촉진한다.

17.11 개발도상국에 의한 수출을 크게 증가시키고, 특히 2020년까지 세계수출에 차지하는 후발개발도상국의 참여를 배가시킨다.

17.12 WTO의 결정에 따라 후발개발도상국으로부터의 수입에 대한 특혜적인 원산지 규칙이 투명, 간략적이고 시장접근에 기여할 수 있게 하는 등 모든 후발개발도상국에 대해 영구적인 무세(無稅)•무(無)범위의 시장접근을 적시 실시한다.

 

체제면 - 정책·제도적 정합성(整合性)

17.13 정책협조와 정책의 시종일관성 등을 통해 세계적인 거시 경제의 안정을 촉진한다.

17.14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정책의 일관성을 강화한다.

17.15 빈곤퇴치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의 수립·실시에 있어서는 각국의 정책공간 및 리더십을 존중한다.

 

다중이해관계자•파트너십(multi stakeholder•partnership)

17.16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의 다중이해관계자 파트너십에 의한 보완을 촉진하고, 그에 따른 지식, 전문지식, 기술 및 재원의 동원·공유를 통해 모든 국가, 특히 개발 도상국의 지속가능한 개발목표의 달성을 지원한다.

17.17 다양한 파트너십의 경험과 자원전략을 바탕으로 한 효과적인 공적, 민관, 시민사회의 파트너십을 장려·추진한다.

 

데이터, 모니터링, 설명책임

17.18 2020년까지, 후발개발도상국 및 군소도서개발도상국을 포함한 개발도상국에 대한 조직적능력개발을 강화하고, 소득, 성별, 연령, 인종, 민족, 거주자격, 장애, 지리적 위치 및 기타 각국 사정에 관련된 특성별의 질이 높고, 신속하고 신뢰성 있는 비집계형 데이터의 입수가능성을 향상시킨다.

17.19 2030년까지 지속가능한 개발의 진척상황을 측정하는 GDP 이외의 척도를 개발하는 기존 대처를 더욱 전진시켜 개발도상국의 통계에 대한 조직적 능력 개발을 지원한다.